일상회복지원위원회 위원 허탁 이사장 인터뷰

 

일상회복에 따른 응급의료체계 과부하가 걱정됩니다.”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 분과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한응급의학회 허탁 이사장은 코로나 이후 일상회복이 진행되면서 그에 따른 응급의료체계 과부하가 우려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일상회복이란 코로나 이전인 2019년으로 복귀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희망인 2022년 일상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허탁 이사장과 일문일답.

 

Q.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의료에서 어떤 부분에 주안점을 두었나?

 

A. 분야에 따라 어느 정도의 확진자가 발생할지 전문가에 따라 다르지만 많게는 하루 2만 명이 넘는다는 예측도 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확진자 1만 명이 발생했을 때 대비책을 세웠다. 만약 그 상태가 되면 재택치료 환자, 생활치료센터 환자, 감염병 전담병원 환자 등으로 나누어 치료할 것이다. 그 환자들이 발생했을 때 추가 병상은 어떻게 확보하고 경증환자 등에 대한 관찰이나 상태가 악화됐을 때 어떻게 후송할 것인지 등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Q. 일상회복이 됐을 때 응급의료에 미치는 영향은?

 

A. 첫째, 일단 우려스러운 건 확진자가 증가하게 되고, 또 확진자와 접촉하는 환자가 늘어나면서 응급실에 코로나 관련 환자들이 많이 올 수 있다. 이로 인해 격리실이나 코로나 검사하는 곳 등에는 상당한 과부하가 걸릴 것 같다. 지금 단계에서 갑작스러운 인력과 시설 투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둘째, 일반 중증환자에 대한 보호와 치료 부분에서도 상당히 부담스럽다.

 

Q. 일상회복으로 코로나 환자가 급증했을 때 대책은 뭐가 있나?

 

A. 코로나 환자와 접촉했을 때 기존에는 격리나 시설폐쇄를 엄격하게 했는데 이제는 완화할 필요가 있다. 또 일상회복 단계에서 꼭 바꾸어야 할 체계는 환자는 한 개의 병원에서 책임지고 치료하는 개념을 넘어서서 지역사회가 치료한다는 것이다. , 병원완결형 체계에서 지역완결형 체계로 전환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 지역사회 의료자원에 따라 중등증·중증 환자를 치료할 병원과 경증환자를 치료할 병원 등으로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코로나와 관련해서는 상급종합병원이나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제는 종합병원 응급실이나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 등에서 경증환자를 진료할 준비를 해야 한다. 학회도 대안방안 등을 마련하고 있고, 방역 당국과도 꾸준히 협의하겠다.

 

Q. 일상회복지원위원회 활동은?

 

A. 일단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위원 활동 기간은 1년이다. 올해 10월에 임명장을 받았다. 일상회복으로 완전전환할 때까지 활동한다. 위원회는 일상회복 1단계로 4주간 실시한 뒤 2주 평가 기간을 거쳐 다음 단계로 진행할 것인지 또는 유지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일상회복 진행 과정 중에 코로나 확진자가 많이 발생하고 중증환자 발생도 늘어난다면 일상회복 전환은 중단될 수 있다. 그렇게 됐을 때 비상계획을 세우는 것과 4주 운영 후 다음 단계로 갈지 여부 등을 일상회복지원위원회에서 계속 논의할 예정이다. 중증환자, 사망자 급증 등 의료체계 여력이 위험한 경우 일상회복 전환을 중단하고 유행 안정화를 위한 비상계획을 실시한다.

 

 

저작권자 © 마이스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